쓸쓸하고 찬란한 나의 일상

1. 10명 중 7명 올해 집 사겠다" 직방 설문조사 높은 매수 의사 밝혀

  
아파트 매입 의사 높고 가격은 3억원 이하 선호…매입의사 없다 중엔 '금액 부담' 가장 많아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자사 앱 사용자 4천980명을 대상으로 올해 주택 매입 전략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올해 집을 매수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2·20 부동산대책 이후 매수 심리가 다소 꺾이긴했지만, 여전히 많은 실수요자들은 매수 의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4일 직방에 따르면 13일부터 24일까지 직방 앱 사용자 4천980명에게 '2020년에 주택을 매입할 의사가 있냐'는 물음에 전체 응답자 중 71.2%(3547명)가 매입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주택 매입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아파트 매입'이 53%(1천879명)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규 아파트 청약(24.9%), 연립·빌라 매입(9.3%), 아파트 분양권·입주권 매입(6.9%) 등이었다.

선호하는 가격대는 3억이하로 나타났다. 주택을 매입하겠다는 응답자 3천547명 중 주택매입에 고려하는 비용은 '3억 이하' 응답자가 41.1%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3억원 초과~5억원 이하(34.1%)였다.

설문 기간 중 수원 조정지역 확대와 조정지역 대출 축소가 담긴 2·20 대책이 발표됐으나 매입 의사는 소폭 감소하는데 그쳤다.

대책 발표 이전 72.8%가 매입의사를 밝혔으나 대책 발표 이후에는 69.9%로 매입의사가 조금 낮아졌다.

올해 주택 매입의사가 없다는 응답자 비율은 28.8%로 집계됐다. 이유로는 '주택 가격이 많이 올라 금액 부담이 커져서'(40.1%)가 가장 많았다. 이어 가격이 많이 올라 곧 떨어질 것 같아서(37.0%), 부동산 정책 변화를 지켜보려고(10.3%), 이미 보유한 주택이 있어서(9.8%), 경기 불황 때문(9.5%) 등이 뒤를 이었다.

직방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자금이 유입될 곳에 한계가 있다 보니 주택 매입에 관심을 갖는 수요자들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또한 1~2인 가구와 내 집마련을 하고자 하는 실거주 목적의 매입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두성 기자 dschoi@imaeil.com

출처 : 매일신문

 

"10명 중 7명 올해 집 사겠다" 직방 설문조사 높은 매수 의사 밝혀 - 매일신문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자사 앱 사용자 4천980명을 대상으로 올해 주택 매입 전략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올해 집을 매수하겠다"고 …

news.imaeil.com

2. 정부, 청약 1순위 자격 강화 원안대로 추진키로… "논란은 여전"

정부가 수도권 아파트 청약 1순위 자격을 받을 수 있는 최소 거주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원안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거주기간을 늘릴 경우 기존 1년 기준을 감안해 주택 구입 계획을 세웠던 무주택 실수요자가 피해를 본다는 의견이 제기됐지만, 받아들이지 않기로 한 것이다.

 

정부는 이들을 시간이 지나면 1순위 청약 대상자가 될 수요층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여전히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청약 제도의 본질에 부합하는 결정이라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의무거주 기간을 늘릴 필요가 없다는 주장까지 상반된 의견이 나오고 있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1순위 청약과 관련한 최소 거주기간 변경안이 담긴 주택공급 규칙 개정안은 원안 수정 없이 국무총리실 산하 규제개혁위원회로 넘어갔다.

 

국토부가 지난해 12월 31일 12.16 대책의 후속조치로 입법예고한 이 개정안은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및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내 우선공급대상자 거주요건 기간을 현행 1년 이상에서 최소 2년으로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주택공급 규칙 개정안이 규제개혁위원회에서 통과될 경우 늦어도 내달 중으로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입법 예고 후) 유예기간 없이 가는 방안으로 규제개혁위와 협의 중"이라면서 "1년 미만 거주자 등 특정 수요자에게 1순위 청약 혜택을 아예 주지 않는 게 아니어서 이들에 대한 재산권 침해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당초 입법예고안에 예상보다 거센 반발이 일자 이 개정안에 대해 재검토한다는 입장이었다.

 

개정안은 시행일 이후 입주자를 모집하는 단지부터 규제를 적용하도록 돼있었다. 하지만 거주요건이 1년인 현재 기준으로는 공급대상에 포함돼도 2년으로 늘어날 경우 제외되는 사람들이 생기는 문제가 있어 이들이 반대하고 나섰고, 정부는 고심을 했다.

 

일각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원안대로 개정안을 추진하기로 결정하면서 청약 1순위를 받기 위해 과천시 등으로 이사가 이른바 ‘몸테크'를 했던 실수요자들의 반발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어차피 이들도 시간이 지나면 청약 기회가 있다는 입장이지만, 올해 분양을 노리고 청약을 위해 거주지까지 옮겨온 사람들 입장에서는 지나친 처사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입지 여건이 우수한데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되는 과천 지식정보타운의 경우 현재 과천 1년 이상 거주자에게 전체 30% 이상을 우선 배정한다.

 

이 청약에 도전하기 위해 이주하는 사람이 늘며 과천의 전셋값은 크게 올랐고 위장전입을 하는 사례까지 생겼다.

 

실제로 국토부의 개정안 원안 추진 소식에 부동산 커뮤니티 등에서는 "무주택이면 실수요자인 것인데 1년 연장이 왜 더 필요하냐", "한 가정의 삶이 결정되는 일이기에 예측 가능성 있는 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지금 상황은 ‘노답(답이 없다)’", "피해자들은 생각하지도 않냐"는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반대로 "살지도 않을거면서 일단 분양 받아 시세차익을 먹고 튀려는 투기꾼들이 극성이니 하루빨리 (제도가) 정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도 정부 결정에 대해 상반되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해당지역을 터전으로 한 무주택자에게 분양 혜택을 주자는 청약 제도의 본질에 부합하는 결정"이라며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반면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구태어 의무거주기간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집이 없는 주거빈곤층에 먼저 혜택을 주는게 우선이지 오래 살았다고 혜택을 달라는 것은 지역이기주의의 한 측면이라고 보여진다" 고 했다.

 

정부가 유예기간 없이 정책을 지나치게 빨리 바꾸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 정책을 신뢰하고 이사 간 사람들도 있을텐데 갑자기 정책을 바꾸면 시장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라면서 "수요자들이 대응할 유예기간을 줘야 정책 신뢰도도 높아지는데, 이를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것은 나쁜 정책"이라고 했다.

백윤미기자

출처.조선비즈

 

정부, 청약 1순위 자격 강화 원안대로 추진키로… "논란은 여전"

정부가 수도권 아파트 청약 1순위 자격을 받을 수 있는 최소 거주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원안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거주기간을 ..

biz.chosun.com


3. 코로나19에도…'청라힐스자이' 141대 1 경쟁률


지난해 이어 올해도 뜨거운 분양 열기…코로나19 등 변수 올해 성적 변수

청라힐스자이 조감도

대구에서 올해 첫 분양 단지로 주목받은 GS건설의 '청라힐스자이'가 청약 경쟁률 141.40대1을 기록하며 1순위 마감됐다.

지난해 뜨거웠던 대구의 분양 열기를 올해도 이어가는 '청신호'를 시장에 쏴 올렸으나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에 따른 분양 연기 등 변수가 이후 분양 단지 성적은 물론 올해 대구 분양시장의 성적을 가늠할 최대 관건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3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청라힐스자이는 394가구(조합분 및 특별공급 제외)를 모집한 1순위 청약에 5만5천710건이 접수돼 141.4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주택형별로는 전용면적 101㎡가 22가구 모집에 9천532건(기타지역 포함)이 접수돼 433.27대1의 경쟁률로 최고를 기록했고 84㎡A(118가구)가 201.67대 1, 84㎡C(108가구)가 118.02대 1로 뒤를 이었다.

이 단지는 앞서 2일 진행한 특별공급에서도 262가구 모집에 2천711명이 몰려 평균 10.35대 1을 기록했다.

이같은 평균청약경쟁률은 지난해 대구에서 최고를 기록했던 대봉 더샵센트럴파크(151.74대1) 다음으로 높은 것이다.

청라힐스자이는 대구 남산4-5지구에 재건축으로 들어서는 아파트로 지하 3층~지상 29층 13개 동 총 947가구 규모다.

최두성 기자 dschoi@imaeil.com

 

출처 : 매일신문

 

코로나19에도…'청라힐스자이' 141대 1 경쟁률 - 매일신문

청라힐스자이 조감도 대구에서 올해 첫 분양 단지로 주목받은 GS건설의 '청라힐스자이'가 청약 경쟁률 141.40대1을 기록하며 1순위 마감…

news.imaeil.com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